본문 바로가기
JAVA 공부

자바 기초 1

by KyeongOUK 2020. 4. 22.

1. 자바 프로그램 구성요소 : 키워드, 식별자(identifier), 상수를 표현하는 단어
-키워드 : class, public, static, void
-식별자 : HelloJava, main, String, args, System, out, println

 

 

2. 키워드와 식별자의 차이 :
- 키워드 : 자바라는 언어에서 명령으로 정의하는것, 이름으로 정의할 수 없다.
   ex)abstract, for, if, do, try, void, class, while... 등등, 변수의 이름으로 줄 수 없는 것들


- 식별자 : 클래스, method의 이름이라는 뜻 .이름으로 쓰인것들.

 

3. 상수(constant) : 항상 정해져 있는 수(number라는 의미는 아님.)

 

4. 변수(variable) : 변화되는 값을 저장하는것

 

5. 자바의 NULL :  참조할게 없음, 메모리에 없는상태. 값이 없다는 의미는 아님.

 

6. 기호 :
- 대괄호[] : 배열
- 중괄호{} : 영역
- 소괄호() : 메소드의 파라미터들, 연산자 우선순위 결정할때, 메소드 호출할때 씀
- 마침표. : 참조연산자
- 세미콜론(;) : 문장의 끝을 나타내는 명령 끝 기호
- 등등

 

7. 데이터 :
- 문자열(string) : " "
- 문자(character) : ' '
- 정수 : .이없으면 정수
- 소수 : .이있으면 소수
- 리터럴 literal : 소스코드에 나온 데이터, "Hello, Java" : 문자열 리터럴
- 등

 

8. 변수 : 메모리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위치를 가지고있는 하나의 메모리, 데이터를 담는 일종의 그릇

9. 변수의 3단계 :
-1) 선언(Declaration) : 변수의 메모리의 크기를 얼마나 할당 받아야 될 지를 컴파일러에게 알려주는 것
-2) 초기화(Initialization) : 선언 후 처음 변수가 값을 가짐을 초기화 과정이라하고 값은 초기값이라 함
-3) 대입, 할당 단계(Assignment) : 값을 할당 받는것, 값을 가짐
-4) 소멸 : 신경안써도 됨.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함. JVM이 알아서 해줌.

 

*스크립트 언어들은 선언을 잘 안하고 씀(동적언어) -> 유연하지만 속도느림
*자바에서는 얼마나 쓸 지 정해놓고 써야 됨(정적언어) -> 속도가빠르다

 

- int num;
 -- type : int형type 선언         -- num : 4byte의 num이라는 공간을 할당       -- ; : 명령의 끝
* 자바의 모든 데이터 타입은 signed int 이다. unsigned자료형이 없고 부호가 있다.

 

- 대입문 : 변수에 데이터를 담는 명령문
 ex) num=10+20;
 --num이라는 변수에 10+20을 하라는 의미, 우변을 계산해서 좌변에 더한다.

 

 

**코딩을 잘하기 위해서는? 에러노트 준비해서 컴파일 과정중 오류 난 것을 모두 저장해서 해결방법 적어놓는다.

 

 


출처: https://tiwaz.tistory.com/entry/자바-기초-문법 [Yi]

'JAVA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에서 메소드(Method)와 함수(function)의 차이  (0) 2020.04.22
자바 기초3  (0) 2020.04.22
자바 기초2  (0) 2020.04.22
System.out.println  (0) 2020.04.14
java 2  (0) 2020.04.14

댓글